-
목차
반응형실내 고양이도 단백질 중심의 고품질 사료가 필요합니다. 고단백·저탄수 사료의 중요성과 함께, 고양이 사료 성분표를 제대로 읽는 방법을 집사 눈높이에 맞춰 알기 쉽게 설명합니다.
실내묘도 영양이 필요해요 – 고양이 사료 성분표 읽는 법
“실내에서만 사는데 사료도 특별히 챙겨야 하나요?”
많은 집사들이 이렇게 생각합니다.
“밖에 안 나가니까 덜 움직일 거고, 그냥 저칼로리면 되겠지?”
하지만 실내 고양이도 활동량과 관계없이 ‘야생성’을 유지한 육식 동물입니다.
그렇기에 단백질 중심의 식단, 저탄수화물 비율, 첨가물 최소화는 필수 조건이에요.고양이는 ‘육식 기반’ 생리구조 – 실내냐 야외냐는 중요치 않아요
고양이는 본질적으로 탄수화물을 분해하는 효소가 부족합니다.
즉, 곡물이나 식물 기반 성분을 많이 섭취할 경우 소화 부담이 크고,
지속되면 비만·당뇨·요로결석 등의 만성 질환 가능성도 높아집니다.실내묘의 특징
- 활동량은 적지만 근육 유지, 피부·모피 건강을 위한 단백질 요구량은 여전
- 스트레스·운동 부족 → 변비, 요로 건강 저하 위험
- 털빠짐, 살찌기 쉬운 체질 변화
이 때문에 사료 선택 시 단백질 중심 + 고품질 원재료 + 기능성 성분을 꼼꼼히 따져야 합니다.
사료 성분표,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사료 뒷면의 성분표는 제품의 실질적 품질을 드러내는 거울입니다.
다음 기준으로 읽어보세요:원재료 표시 순서
- 가장 먼저 오는 1~3가지 성분이 제품의 주성분입니다.
→ “닭고기”, “연어”, “양고기” 등 동물성 단백질이 최상단이어야 해요.
→ “밀”, “옥수수글루텐”, “밀기울” 등이 최상단이라면 곡물 중심 → 피하기
Guaranteed Analysis (보장성분 분석)
- 단백질 : 실내묘 기준 30~40% 이상
- 지방 : 12~18% 사이 (체중 상태에 따라 다르게)
- 섬유질 : 3~6% 적당 (과하면 변비 유발 가능)
- 재(RA, Crude Ash) : 7% 이하가 이상적 (미네랄 잔재 → 요로 건강 영향)
기능성 첨가물
- 타우린 : 필수 아미노산, 고양이에게 생명 유지 필수
- L-카르니틴 : 체지방 관리, 근육 유지
- 오메가-3 (DHA, EPA) : 피부, 관절 건강에 도움
- 프리바이오틱스/유산균 : 장 건강, 변 상태 안정화
고단백 저탄수 사료가 왜 중요한가요?
고양이는 간에서 지방과 단백질을 에너지로 전환하는 시스템을 가졌습니다.
탄수화물 과다 섭취 시, 소화는 느리고 지방으로 축적되기 쉬워요.고단백 사료는
- 근육량 유지에 도움
- 체중 안정에 효과
- 기분 안정과 활력 유지에도 긍정적 영향을 줍니다.
실내묘를 위한 사료 선택 팁
제품 선택 시 체크리스트
- 원재료 1~2순위에 실제 고기 이름 명시 (예 : 연어살, 닭고기 등)
- “미트밀, 부산물” 단어가 반복되면 품질 낮은 단백질로 의심
- “Grain-Free” or “Low Grain” 제품 중에서도
→ 감자, 고구마 등 탄수 보완재가 적은 것 고르기 - 고양이 나이·건강 상태에 따라
→ “체중조절용”, “요로건강 특화”, “헤어볼 컨트롤” 라인 고려
요약 표 – 성분표 해석 기준 정리
항목 권장 기준 체크 포인트 단백질 30~40% 이상 닭, 연어, 양 등 동물 단백질 상단 위치 지방 12~18% 비만 고양이는 10~12%로 낮게 탄수화물 25% 이하 표시 안 될 수 있음 → 원재료로 추정 기능성 성분 타우린, 오메가-3, L-카르니틴, 유산균 등 피할 원재료 밀, 옥수수, 부산물, 카라멜색소, 인공향 반응형마무리 팁
사료는 매일 고양이의 건강을 책임지는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화려한 광고보다, 사료 뒷면 성분표를 읽을 줄 아는 집사가 되면
우리 고양이의 몸은 훨씬 가볍고, 털은 윤기 있고, 기분은 안정되어 있을 거예요.“실내에서만 산다고 해서 영양까지 적게 필요한 건 아니에요.
적게 움직일수록, 더 좋은 영양이 필요합니다.”고양이의 건강은 털끝부터 발끝까지, 매일의 작은 관리에서 시작됩니다
고양이도 보호자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털, 귀, 눈, 발, 화장실까지 반려묘 청결을 위한 구체적인 관리법을 알려드립니다. 질병 예방과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되는 고양이 위생관리 가이드를
heart-flutting.sanisanee.co.kr
먹는 것부터 바꿔야 하는 이유, 고양이 알레르기의 해답은 식단에 있다!
고양이의 탈모, 피부염, 과도한 그루밍은 음식 알레르기일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증상, 유발 원인, 식단 조절 방법과 저알레르기 사료 선택 팁까지 꼼꼼하게 정리한 가이드를 확인해보세요. 고
heart-flutting.sanisanee.co.kr
반응형'Pet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자 노는 고양이를 위한 최고의 장난감 추천 (2) 2025.06.19 [품종별 관절 건강 지침서] 노령견 – 관절이 약해지는 시간의 속도 (2) 2025.06.19 [품종별 관절 건강 지침서] 시베리안 허스키·셰퍼드 – 근육이 많은 아이들의 관절 관리 (1) 2025.06.18 고양이가 자꾸 무는 이유 – 스트레스 vs 애정 표현? (2) 2025.06.17 [품종별 관절 건강 지침서] 웰시코기·닥스훈트 허리 관절 관리법 (2) 2025.06.17